본문 바로가기

미학

상호작용적 예술 작품에서 관객의 공동 창작자로서의 역할 변화

1. 서론 – 예술 경험의 패러다임 전환

전통적 예술은 작가가 완성한 결과물을 관객이 수동적으로 감상하는 형식을 취했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과 네트워크의 발전은 관객을 단순 관람자를 넘어 **공동 창작자(co–creator)**로 전환시켰습니다.
이 글에서는 상호작용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객이 작품의 의미, 형태, 서사까지 함께 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예술과 관객의 관계에 어떤 철학적·미학적 함의를 갖는지 고찰합니다.

 

상호작용적 예술 작품에서 관객의 공동 창작자로서의 역할 변화

 

2.1 되기(becoming)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생성미학은 “정적인 존재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화·확장되는 과정”에 주목합니다.

  • 되기-과정: 관객의 행위와 맥락 변화에 따라 작품이 계속해서 새롭게 ‘되는’ 경험
  • 사례: Francis Bacon
    • 베이컨은 캔버스 위 인물 형체를 반복 그렸다 지우고 왜곡하는 작업으로, 그림이 완성된 상태가 아니라 끊임없이 생성되는 현장임을 시각화했습니다.
    • 관객은 왜곡된 이미지에서 고통과 불안을 읽어내며, 매번 다른 해석을 투영함으로써 **자신도 ‘되기-관객’**이 됩니다.

2.2 관계 미학(Relational Aesthetics)

니콜라 부리오의 관계 미학은 예술작품을 “사람 사이의 관계를 만들어내는 장(field)”으로 봅니다.

  • 관객 참여: 작품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상호작용 자체가 예술의 핵심
  • 사례: Rirkrit Tiravanija, 《Untitled (Free)》
    • 전시장 한편에 주방과 식탁을 설치하고 무료 카레를 나눠 주어, 관객들이 요리·식사·대화를 함께하는 공동체적 경험을 창출합니다.
    • 작품은 물리적 오브제가 아니라, 사람들의 관계망으로 확장됩니다.
  • 사례: Tino Sehgal, 《This Progress》
    • 계획된 대화 지침을 지닌 퍼포머들이 관객과 일대일로 짧은 대화를 나눕니다.
    • 관객은 언어와 몸짓으로 작품의 의미를 실시간으로 재구성하며, 참여자가 되는 상호주체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3. 사례 분석 – 관객의 물리·심리적 개입

3.1 Rafael Lozano-Hemmer – 『Pulse Room』

  • 구조: 수백 개 전구가 관객의 심장 박동 센서 입력에 따라 점등·소등
  • 관객 역할: 자신의 심박을 제공해 전구 패턴의 핵심 요소가 됨
  • ‘되기’ 경험: 생체 신호가 집합적 조형으로 변형되며, 작품과 생명체의 경계를 허뭅니다.

3.2 Random International – 『Rain Room』

  • 구조: 입체감지 센서가 비내림·멈춤 영역을 실시간 계산, 관객이 지나간 곳만 비를 멈춤
  • 관객 역할: 자신의 움직임으로 빗속의 ‘쉼터’를 공동 건축
  • ‘되기’ 경험: 공간 자체가 관객의 행위로 되기-공간(becoming-space) 되는 과정을 체험합니다.

3.3 Camille Utterback – 『Text Rain』

  • 구조: 프로젝터와 카메라로 떨어지는 문자 조각을 실루엣으로 “잡아채듯” 상호작용
  • 관객 역할: 몸짓으로 텍스트를 모아 단어·문장으로 재조합하며 공동 예술가가 됨

 

4. 미학적·사회적 함의 – 비판적 상호작용의 가능성

4.1 능동적 주체화(Agency)

관객의 작은 행위가 작품 결과에 직접 영향을 미침으로써, 예술 감상은 ‘나-되기(I-becoming)’ 과정이 됩니다.

  • 관객은 단순 소비자를 넘어 의미를 생산하는 주체자가 됩니다.

4.2 사회적 공감과 집단 감성

심박·움직임 같은 집합적 입력을 매개로 서로 간 무언의 협력과 공감이 형성됩니다.

  • 이는 브레히트식 참여예술에서 요구한 “관객과 작품의 비판적 대화”를 실현합니다.

4.3 예술의 민주화와 평등성

전문 기술 없이도 누구나 신체·행동을 통해 예술에 기여할 수 있어,
예술의 권위가 작업실·갤러리를 넘어 일상의 공간으로 확장됩니다.

 

5. 결론 – 관객과 작품의 공진화(co–evolution)

상호작용적 예술은 **‘작품-되기(work-becoming)’**와 **‘관객-되기(audience-becoming)’**를 동시에 촉진합니다.

  • 관객은 자신을 매개로 작품 세계를 생성하고,
  • 작품은 그 반응에 따라 계속해서 변형됩니다.

이 과정에서 예술작품과 관객은 공동 창작자로서 서로를 비추며,
고정된 대상이 아닌 살아 있는 관계망으로 거듭납니다.